Altcoins Talks - Cryptocurrency Forum
Local => 한국어 (Korean) => 뉴스 => Topic started by: manyexp on September 19, 2018, 09:36:46 AM
-
뉴욕 법무장관실(New York Office of the Attorney General·OAG)이 가상통화 거래소들이 가격 조작 대처에 미흡하고, 기존 금융 시장에 부합한 소비자 보호 표준도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뉴욕주 법무장관실은 ‘투명성, 공정성, 보안’ 등을 중심으로 한 가상통화 시장 관련 32장의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 4월 에릭 슈나이더 만 (Eric T. Schneiderman) 뉴욕 전 검찰총장이 가상통화 거래소의 투명성과 소비자 보호 관련 조사를 위해 13개 가상통화 거래소에 운영, 내부 통제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해 작성한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수의 거래소들이 투자자를 제대로 보호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크립토 거래 플랫폼들은 OAG에 “여러 플랫폼에서 벌어지는 시장 가격 조작을 막거나 모니터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답했다. 반면 제미니 등 또 일부 거래소들은 더 효과적으로 시장을 감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실제 일부는 이를 개선시키는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라 언더우드(Barbara Underwood) 뉴욕 검찰총장은 “기존 금융 거래에서 의심스러운 거래 활동을 감시하고 처벌하는 것과 같은 역량을 가상통화 산업에서는 아직 구현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에 10개 거래소들은 조사 요청에 응했지만 크라켄(Kraken)을 비롯해 일부는 응답하지 않았다.
특히 뉴욕 법무장관실은 “크라켄과 바이낸스(Binance), 게이트아이오(GATE.IO)는 거래소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비트라이센스(BitLicense)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채 서비스를 계속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가상통화 규율에 따라 위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크라켄은 일일 거래량이 1억 3,300만에 달하며 미국 이용자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거래소다. 바이낸스 또한 일일 거래량이 10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거래소다.
https://crosswave.net/?p=21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