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 기업 비트메인(Bitmain)이 마침내 정식으로 기업공개 절차를 밟는다.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비트메인은 지난 26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기업공개 신청서를 제출했다.
최대 수십억 달러를 모을 계획으로 알려진 비트메인의 기업공개를 둘러싸고 논란이 없지 않았다. 상장 절차를 정식으로 밟기에 앞서 몇몇 대형 투자자들에게 사전 판매 형식으로 지분을 팔았다는 보도가 나오자 여기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기업들이 잇따라 비트메인에 투자하지 않았다고 보도를 부인하면서 비트메인의 상장을 둘러싸고 각종 소문과 의혹이 증폭되기도 했다.
비트메인은 현재 신청서 초안을 제출한 상태로 홍콩 증권거래소의 심사 절차를 따라 몇 차례 공청회 등을 거쳐야 한다. 기업공개 후 기업 가치가 얼마로 평가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홍콩 증권거래소가 게재한 비트메인의 기업공개 신청서에는 총 발행 주식의 숫자나 기업공개 일정 등에 관한 몇몇 조항이 삭제돼 있긴 하지만, 비트메인의 재정 상황과 잠재적인 기업 가치, 회사 구조와 기업공개를 위해 어떤 절차를 밟았는지 등을 엿볼 수 있다.
신청서에 따르면 비트메인의 지난해 매출(revenue)은 25억 1,771만 9천 달러로, 전년도인 2016년 기록한 2억 7,761만 2천 달러보다 열 배 이상 늘어났다. 이어 올해 6월 30일까지 이미 28억 4,546만 7천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지난해 매출을 이미 넘어섰다. 매출에서 원가를 뺀 이윤(gross profit)은 지난해가 12억 1,275만 달러, 올해 상반기는 10억 3,015만 1천 달러로 2016년 1억 5,135만 1천 달러보다 역시 크게 늘었다. 세전 이윤도 2016년 1억 3,775만 달러에서 2017년엔 8억 9,737만 6천 달러, 올해 상반기엔 9억 779만 2천 달러로 늘었다.
앞서 코인데스크는 별도로 입수한 자료를 토대로 비트메인의 이윤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코인데스크가 추정한 비트메인의 이윤은 2016년 1억 달러, 2017년 11억 달러, 2018년 1분기 11억 달러였다.
비트메인은 이어 각종 비용과 경비를 제하고 조정을 거친 뒤 비트메인의 순이익(net profit)이 2015년에 4,860만 달러, 2016년에 1억 1,350만 달러, 2017년 9억 5,250만 달러, 그리고 올해 상반기까지는 9억 5,210만 달러라고 밝혔다.
비트메인은 또 6월 30일 현재 비트코인(BTC), 비트코인캐시(BCH), 이더(ETH), 라이트코인(LTC), 대시(DASH) 등 다섯 가지 암호화폐를 총 8억 8,690만 달러어치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올해 상반기 동안 암호화폐 가격이 내리면서 지난해부터 보유해 온 암호화폐의 가치가 총 1억 270만 달러 내렸는데, 손실액은 지난해보다 열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비트메인은 전체 회사 자산 가운데 보유한 암호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이 28%라고 밝혔다. 암호화폐별로 나누어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비트메인이 보유한 암호화폐는 2016년 말에는 5,630만 달러어치, 2017년 말에는 8억 7,260만 달러어치로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안팎이었다.
https://www.coindeskkorea.com/%EA%B8%B0%EC%97%85%EA%B3%B5%EA%B0%9C-%EC%8B%A0%EC%B2%AD%EC%9C%BC%EB%A1%9C-%EC%B1%84%EA%B5%B4-%EA%B3%B5%EB%A3%A1-%EB%B9%84%ED%8A%B8%EB%A9%94%EC%9D%B8%EC%9D%98-%EC%8B%A4%EC%A0%81%EC%9D%B4-%EA%B3%B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