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최근 매우 큰 하락을 겪으며 $5,000선이 붕괴되었다. 하락 이유가 어찌되었건 이로인해 많은 투자자와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하락에 대한 패닉과 혼란을 겪었으며, 비트코인을 필두로 리플을 뺀 나머지 알트코인들이 매우 큰 하락을 경험했다.
이번 비트코인의 큰 가격 하락을 통해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마저 생겼으며, 지난 튵립 버블 또는 모기지론 사태와 같이 금융위기를 몰고 올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주기적인 버블 형태의 가격 폭락을 겪으면서, 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형태의 움직임을 이어왔다.

비단 비트코인 뿐만아니라 아마존은 2000년도에 98%의 하락을 경험했지만 이후 현재까지 37,000%의 상승을 겪었다. 아마존도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몇번의 버블을 경험하고 현재의 가격에 도달할 수 있었다.
우리가 통상 안전자산이라고 여기는 황금도 SEC가 승인한 골드의 ETF가 거래소에 상장되기전까지 비트코인과 같은 매우 큰 하락을 겪은 바 있다. 금의 이런 형태의 차트는 아래와 같이 비트코인 차트와 매우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통상 안정적 또는 완전히 성공궤도에 오른 성공한 기업의 주가 가격과 같이 현시점을 큰 상승을 위한 버블형태의 가격 하락이라고 단정짓기엔 아직까지 넘어야할 난제가 많이 남아있다.
예를 들면, 통상 안정적인 특정 자산들과 달리 비트코인은 고래라고 불리우는 특정 단체 또는 개인의 매도 물량에 매우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블록체인이라는 신개념의 기술이 전세계에 걸쳐 인지적 단계를 넘어선 완전한 자산으로 거듭나진 않았다는 점 등이다.
큰하락은 다시금 큰 상승을 만들어 낸다. 이런 비트코인의 버블과 하락은 3~4년의 주기를 통해 다시 큰 상승을 진행했으며, 난제를 무사히 극복한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의 길로 나아갈수 있을때 현재의 버블 이후의 큰 상승은 2019~2020년에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크다.
http://cointoday.co.kr/2018/11/24/%EB%B9%84%ED%8A%B8%EC%BD%94%EC%9D%B8-%EC%83%81%EC%8A%B9%EC%9D%84-%EC%9C%84%ED%95%9C-4%EB%B2%88%EC%A7%B8%EC%9D%98-%EB%98%90%EB%8B%A4%EB%A5%B8-%EB%B2%84%EB%B8%94%EC%9D%B8%EA%B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