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의 심장부에는 가상 컴퓨터가 있다. 바로 이더리움 가상머신, 즉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이다. EVM은 플랫폼을 이루는 수만 개의 노드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더리움을 구성하는 수많은 토큰과 분산 애플리케이션 댑(dapp),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 크립토키티의 실행을 책임진다.
EVM은 이더리움 전체를 작동하는 엔진으로 “EVM 바이트코드(bytecode)”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EVM 바이트코드는 (플랫폼이 스스로 부과하는 한계인 가스의 범위 내에서) 조합 가능한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256비트의 원시 문자열 정보로 구성된다.
대단히 효과적이고 중요한 것처럼 들리는가? 함부로 다루면 큰일 날 것 같지 않은가?
그런데 이더리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이더리움 가상머신이 곧 전면 개정될 예정이다. 이더리움 개발자 레인 레티그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EVM은 처음부터 설계를 크게 고려해서 개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EVM은 그냥 툴이었습니다. 말하자면 스위스 아미 나이프 같은 거죠. 이것저것 할 수 있는 건 많지만 아주 정밀하지는 않아요.”
현재의 EVM을 eWASM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가상머신으로 교체하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eWASM은 WASM 코드의 이더리움 버전이다. WASM은 웹어셈블리(WebAssembly)의 약자로, 웹의 유지와 표준화를 담당하는 개발자 집단인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이 개발했다.
“EVM과 비교하면, WASM은 고액 연봉을 받는 굉장히 숙련된 기술자들이 수천 시간을 쏟아부어 개발한 것”이라고 레티그는 말했다. 레티그도 eWASM 개발에 참여 중이다.
eWASM을 사용하면 개발자들은 이더리움 전용 언어인 솔리디티(Solidity) 외에도 여러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할 수 있게 되며, 성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또 EOS, 트론, 카르다노 등 이더리움의 경쟁 화폐 일부가 이미 WASM 코드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별 가상머신을 도입하였거나 혹은 도입할 계획이라는 사실은 이더리움의 결정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이더리움은 수년 안에 “샤스퍼(Shasper)”라 불리는 몇 가지 업데이트와 개선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계획이다. 샤스퍼는 확장성 해결 방안인 샤딩(Sharding)과 지분증명 채굴방식을 도입하는 캐스퍼(Casper)를 합친 신조어다. 정확히 언제 샤스퍼를 시행할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eWASM 개발은 빠른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10월에 프라하에서 열리는 이더리움 개발자 콘퍼런스인 데브콘 4에서 테스트넷을 출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https://www.coindeskkorea.com/%EC%9D%B4%EB%8D%94%EB%A6%AC%EC%9B%80-%EA%B0%80%EC%83%81%EB%A8%B8%EC%8B%A0evm-2-0-%EC%9D%B4%EB%8D%94%EB%A6%AC%EC%9B%80%EC%9D%98-%EC%8B%AC%EC%9E%A5%EC%9D%B4-%EA%B5%90%EC%B2%B4%EB%90%9C%EB%8B%A4/